아티클

2025 보건복지부: 정신건강 관련 콘텐츠 제작 시 최소 기준으로 활용하세요

2025 보건복지부: 정신건강 관련 콘텐츠 제작 시 최소 기준으로 활용하세요

에디터 의견 보건복지부와 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한국기자협회가 심포지엄을 개최했습니다. 보도자료 내용은 행사 개최인데, 붙임 자료에 2024년 11월 제정한 [정신건강보도 권고기준]가 있습니다. 복지기관에서 보도자료 및 각종 홍보물, 콘텐츠 등을 작성할 때 준수할 최소 기준으로 보아도 좋겠습니다. 직접 보시도록 본문 아래 에디터가 추린 내용에 추가합니다. 보도자료 자체는 보실 필요가 없습니다. 에디터가 추린 주요 내용 정신건강보도 권고기준정신질환(정신건강) 정보를 다루거나 이를 […]

2025 보건복지부: 정신건강 관련 콘텐츠 제작 시 최소 기준으로 활용하세요 더 읽기"

2025 보건복지부: 노인일자리 관련 우수 신규 아이템 2019년~2025년

2025 보건복지부: 노인일자리 관련 우수 신규 아이템 2019년~2025년

에디터 의견 보건복지부가 신노년세대의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는 2025년 노인적합형 신규 직무 8개를 선정했습니다. 2019년부터 선정해 왔는데, 지금까지 총 70개의 신규 직무를 전국적으로 보급했습니다. 관련하여 보도자료 붙임에 2019년~2024년까지 선정 현황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올해 것까지 보시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 본문 내 에디터가 추린 주요 내용에 이미지로 첨부합니다. 보도자료 자체는 보실 필요는 없습니다. 에디터가 추린 주요 내용

2025 보건복지부: 노인일자리 관련 우수 신규 아이템 2019년~2025년 더 읽기"

비영리 브랜드는 대중에게 유능함보다 따뜻함을 강조해야

에디터 의견 사람들이 영리 비영리 브랜드를 유능함과 따뜻함이라는 두 차원으로 어떻게 인식하는지 살펴본 연구가 있습니다. 영리는 주로 ‘유능함↑ & 따뜻함↓’ 인 반면, 비영리는 ‘따뜻함↑ & 유능함↓’ 이라는 인식이 강합니다. 이에 따라 영리는 사회공헌 활동 등을 통해 따뜻함을 높이려 노력하고, 사람들은 이를 긍정적으로 인식한다고 합니다. 영리의 경우, ‘유능함↑ & 따뜻함↑ = 긍정’인 것이죠. 그럼, 비영리기관이 유능함을

비영리 브랜드는 대중에게 유능함보다 따뜻함을 강조해야 더 읽기"

202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청년 은둔 양상의 변화와 정책 과제를 이해하기 쉬운 자료

202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청년 은둔 양상의 변화와 정책 과제를 이해하기 쉬운 자료

에디터 의견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발간하는 보건복지포럼에 올라온 은둔 청년에 대한 자료입니다. 은둔 청년의 개념과 실태, 삶과 욕구 등이 본 자료에 잘 요약·정리되어 있어 공유합니다. 자료는 2022년과 2024년 청년 삶 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자료입니다. 따라서 구체적인 근거가 있고, 이를 분석하고 해석한 자료입니다. 2025년 올해 법률이 통과되어 2026년 청년미래센터가 전국 확대 및 본격 시행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는 자연스럽게

202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청년 은둔 양상의 변화와 정책 과제를 이해하기 쉬운 자료 더 읽기"

2025 서울시: 경계선지능인(느린학습자)로 세분화, 발달장애+정신건강으로 융합

2025 서울시: 경계선지능인(느린학습자)로 세분화, 발달장애+정신건강으로 융합

에디터 의견 보도자료 자체는 꼭 살펴야 할 내용이 있는 건 아닙니다. 다만, 이번 주 보도자료에서 지자체의 지원 대상에 대한 세분화, 융합 사례가 있어 소개합니다. 그간 느린학습자라 부르는 ‘경계선지능인’에 대한 지원은 서울시 보도자료에서 찾아보기 어려웠습니다. 2024년과 2025년에는 총 3개 보도자료입니다. 처음 언급한 게 2022년에 1건, 2023년에 1건이었는데, 서울시도 조금씩 지원이 필요한 대상으로 인식하는 시작 단계 정도로

2025 서울시: 경계선지능인(느린학습자)로 세분화, 발달장애+정신건강으로 융합 더 읽기"

AI와 함께하는 발달장애인 행동분석 전문 지원

에디터 의견 발달장애인을 돕는 현장에서는 ABA라는 응용행동분석을 사용합니다. 구체적인 행동과 양태를 통해, 이를 유발하는 원인을 탐색하고, 이런 요소들 간의 관계를 살펴서 행동을 이해하고 대체 경로 등을 만들어 행동을 대체 또는 중재하는 기법입니다. 주로 발달장애 특히 자폐 스펙트럼 당사자를 돕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사실 근본 원리는 시스템 사고와도 일맥상통합니다. 사회사업의 근간인 생태체계 이론의 근원 중 하나가

AI와 함께하는 발달장애인 행동분석 전문 지원 더 읽기"

2025 보건복지부: 사회복지 공무원도 이제는 현장으로, 현지완결형으로

2025 보건복지부: 사회복지 공무원도 이제는 현장으로, 현지완결형으로

에디터 의견 사회복지업무 담당 공무원도 이제 당사자 있는 현장에서 업무 처리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합니다. 그동안 행정 작업 등의 제약으로 인해 주민센터라는 공간 안에 갇혀있었고, 단지 필요할 때만 현장으로 나올 수 있었는데 이를 개선한 겁니다. 보도자료에도 신청 절차를 디지털 방식으로 완전 전환하는 방식으로 개선했다고 밝힙니다. 모바일 행복이음에 전자서명 기능을 도입하여 현장에서 업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2025 보건복지부: 사회복지 공무원도 이제는 현장으로, 현지완결형으로 더 읽기"

사회문제는 사회구조로 보면서 사회복지사는 개인적으로?

사회문제를 다루는 분들은 주로 사회문제가 사회구조에서 기인한다고 설명한다. 사회구조적 관점이다. 그런 후엔 어김없이 사회복지사에게 요청한다. 사회문제를 유발하는 사회구조를 고치는 데 사회복지사가 더 노력해야 한다고 말이다. 꽤나 이상하다. 그런 접근이 내가 보기에는 갑자기 관점을 바꾸는 듯 보인다. 일단, 사회문제는 분명 사회구조적 차원으로 설명했다. 그렇다면 사회복지사를 볼 떄도 사회구조적으로 보려고 해야 하는 것 아닐까? 그래야 내적 일관성이

사회문제는 사회구조로 보면서 사회복지사는 개인적으로? 더 읽기"

2025 보건복지부: 발달장애인 재산관리 25년 10월,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 26년 4월 실시

2025 보건복지부: 발달장애인 재산관리 25년 10월,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 26년 4월 실시

에디터 의견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 개정되었는데, 재산관리 지원서비스, 시·군·구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 운영 위탁 관련한 내용입니다. 재산관리 지원서비스는 ‘에디터가 추린 주요 내용’에 이미지로 첨부했습니다. 직접 보시는 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판단하여 첨부합니다. 재산관리 지원서비스는 그간 시범사업으로 추진되어 왔는데, 2025년 10월 2일(목)에 시행되어 본 사업으로 실시될 예정입니다.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가 설치되면, 이와 관련하여 기존 복지기관의

2025 보건복지부: 발달장애인 재산관리 25년 10월,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 26년 4월 실시 더 읽기"

2025 보건복지부: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시범사업 연계 서비스 현황표

2025 보건복지부: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시범사업 연계 서비스 현황표

에디터 의견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시범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7년 3월 본사업 시행을 준비하는 차원입니다. 시범사업은 별도 예산을 지원하여 연계 서비스를 추가하여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방향으로 보입니다. 현재 대부분의 복지정책 방향 키워드는 ‘지역’, ‘통합’, ‘개별’ 등으로 수렴되고 있습니다. 이것이 중요한 키워드라면, 복지 현장도 이를 고려하여 준비, 대비해야 하겠습니다. 원래는 시범사업 연계 서비스 현황표가 붙임 자료로 있는데, 이걸

2025 보건복지부: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시범사업 연계 서비스 현황표 더 읽기"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