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서울시: 민간에서 조리 후 복지관 등에 전달·배송 '서울밥상' 시작

2025 서울시: 민간에서 조리 후 복지관 등에 전달·배송 ‘서울밥상’ 시작

에디터 의견

이전 아티클 중에 ‘2025 서울시복지재단: 무료급식을 급식조리센터와 수행기관으로 분리해야‘를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서울밥상이라는 이름으로 급식 ‘대기 중’ 어르신 1천 명에게 도시락·밑반찬을 제공하는 방식을 본격 시작합니다. 조리는 서울시가 선정한 민간조리업체에서 대량으로 완조리 후 거점기관(복지관 등)에 전달하면, 공공 어르신일자리 참여자가 배송하는 시스템이라 합니다.

지금까지 복지계의 큰 흐름을 보면, 의식주 등 자원 제공은 예전엔 복지기관의 역할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사회보장 측면인 지자체의 몫으로 자원 제공은 점점 옮겨갔고, 음식 제공도 마찬가지로 옮겨가고 있음을 확인합니다. 이 흐름으로 보면, 앞으로 복지기관의 역할은 오히려 더 관계를 살피는 영역으로 빨리 자리매김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흐름을 다시 한번 확인합니다.

에디터가 추린 주요 내용

조리공간‧인력 부족으로 급식 ‘대기 중’ 어르신 1천여 명에 도시락‧밑반찬 매주(7일분) 전달.
민간조리업체 완조리 후 거점기관에 전달, 공공 어르신일자리 참여자가 한집한집배송.

따로 공공의 조리공간이나 인력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고 민간업체에서 대량으로 식자재를 구매‧조리하기 때문에 동일 비용으로 보다 고품질의 급식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시는 ‘서울밥상’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배달플랫폼이 될 관내복지관,대한노인회지회, 돌봄통합센터 등 33개소의 거점 수행기관을 선정했다.

민간조리업체를 활용한 서울밥상 시범서비스는 9일(수)부터 8개 자치구 845명의 저소득 어르신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8개 자치구: 강서구, 은평구, 광진구, 노원구, 구로구, 강북구, 동대문구, 관악구

성과평가 등을 실시 후 내년에는 전체 자치구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guest
2 댓글
최신
가장 오래된 최다 투표
인라인 피드백
모든 댓글 보기
bsdg2023

소장님의 의견에 많은 공감이 됩니다. 이제 기본적인 욕구는 공공의 정책으로 대부분 커버가 되고
그 이상의 부분에 대한 민간의 시도와 접근이 되는 지금의 시기에
민-관 거버넌스의 한 부분에 임하는 조직 구성원으로써 저희의 역할도 고민이 되곤 합니다.
좋은 기회에 한번 모실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부산에서..^^

위로 스크롤
2
0
당신의 생각도 궁금합니다. 댓글을 달아주세요.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