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사자의 자살을 경험한 사회사업가: 개인 차원 의미 찾기와 방법

당사자의 자살을 경험한 사회사업가: 개인 차원 의미 찾기와 방법

현재 상태

미수강

가격

멤버십

시작하려면

0 0 투표
아티클 만족도 평가하기

🎯 개인 차원의 내면 회복법 🎯

0 0 투표
아티클 만족도 평가하기
guest
4 댓글
최신
가장 오래된 최다 투표
인라인 피드백
모든 댓글 보기
드림보

소장님, 제가 오늘 다섯번째 과정을 읽지 않은 상태에서 수료증 발급이 가능하네요. 이 부분 확인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아티클 생성 날짜가 어딘가에 표시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여기엔 그런 날짜가 보이지 않아서 저 개인적으로는 조금 아쉽습니다. 이 부분은 어떻게 생각하실까요?

(이곳 게시판을 관리하는 관리자이자 업무적으로는 소장님, 가르침을 받고 배우는 학생으로써는 선생님이라고 호칭하기로 제 마음대로 정했습니다.)

그리고 수료증 발급 관련, 과정 완료 후 아티클에 있는 내용들을 바탕으로 간단한 퀴즈를 한다거나, 그게 아니면 개방형 질문에 대해 주관식, 서술식으로 본인의 이야기를 적고 답을 한 후에 수료증이 발급되도록 하는건 어떨까요? (예시 : 앞으로 자살을 경험한 직원을 만난다면 어떤식의 조치를 취하시겠습니까? 이번 교육을 통해 느꼈던 점이나 실무에 작용하면 좋겠다 싶은 점, 또는 저에게 질문하고 싶으신 내용이 있다면 적어주세요.)

그러면 과정을 참여한 분들에 대한 자연스러운 피드백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싶어 제인 드려봅니다.

오늘도 감사드립니다.^^

드림보이(가) 1 월 전을(를) 마지막으로 수정함
드림보

저는 이분이 최소한 학습을 했는지에 대한 확인절차로 수료조건으로 최소한의 질문에 대한 대답이 결코 부담스러운 건 아니라고 생각하는 입장입니다. 부담스럽다면, 그냥 간단하게라도 답하면 된다. 소감만 말해도 된다. 이런식으로 덧붙여도 좋을 것 같구요. 더 나은 학습, 발전을 위해서, 그리고 소장님을 위해서도 공식적인 피드백 절차는 있으면 좋다고 생각하구요..(평가를 통해 무언가를 계량화하고 점수화하는 것은 상황이나 여건이나 취지에 따라서는 문제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하지만요. 뭐 저는 의견만 드리는 거고, 선택은 소장님께서^^).

드림보이(가) 1 월 전을(를) 마지막으로 수정함
위로 스크롤
4
0
당신의 생각도 궁금합니다. 댓글을 달아주세요.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