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복지기관 직원은 부업이 가능할까요? 🎯
법적으로는 직원의 겸직 금지가 없어요.
하지만 대부분 내규인 운영규정으로 제한돼요.
운영규정에 없다면 원칙은 제한이 없는 거예요.
만약 하더라도 시설장 허가를 받아야 해요.
최소한 2년 이상 본업에 집중하기를 추천해요.
📈 MicroLearning 하세요!
⏰ 딱 5분 39초면 읽을 수 있습니다. [발표시간 계산기] 기준
코스 내용
퇴근 후 투잡을 해도 될까요?: 겸업 금지 위반이라는 게 있어요
'결제'하시면 수강할 수 있습니다.
보수만 바라보고는 현장의 일을 하기 힘들지만, 현재 자신의 위치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내용에 관해서는 이렇다 저렇다 확실한 답변을 듣기 힘든 부분인데, 읽고 나니 궁금증이 해결되었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드립니다 🙂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정리된 것도 없고, 좀 잘못 알려진 것도 있더라고요. 궁금증이 해결되었다니 다행입닏. 고맙습니다. 😊
저의 일만으로도 빠듯하기에 생각해 본 적은 없는 질문이기는 합니다^^
된다, 안된다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현재 우리의 일에 대해 돌이켜보면 좋겠다 싶습니다.
어쩔 수 없는 상황은 서글프지만 어쩔 수 없다고 생각됩니다만,
그런 상황에 있거나 고민하는 우리(직원)들을 어떻게 잘 이끌어주고, 밀어주고, 힘이 되어줄 것인가에 대한 책임감도 느껴지면서 더불어 지금의 순간이 최선이라고 스스로에게 주문을 하다보면 어느덧 나의 일에 자부심과 자존감이 높아져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꼭 필요한 상황에서야 어쩔 수 없겠지만, 그 외에는 지금 순간이 최선이 되도록 집중하는 것이 내일도 최선이 되도록 집중할 수 있겠지요. 그렇게 동료들이 살 수 있도록 책임감을 가져주시니 얼마나 감사한지요. 행복한 동료들이실 듯 합니다. 고맙습니다. 😊
오늘도 잘 읽었습니다.
저의 업무를 잘 해내는 것만으로도 벅찬 병아리는…투잡은 한 번도 생각해 본 적 없지만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최선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 또한 기억하겠습니다.
오늘도 회의 때 짧지만 발의해야 했던 시간이 있었습니다. 떨렸지만 ‘나는 여기서 성장하겠다.’ 어제의 아티클을 마음에 담고 임하였습니다. 잘 해냈고, 잘 해나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오! 회의 때 발의 기회가 있으셨군요. 잘하셨다니 축하드려요. 맞아요. 여기서 성장하겠다는 그 다짐이 원동력이 되셨을 거라 믿어요. 선생님을 그 누구도 아닌 선생님 스스로 도우셨네요. 훌륭하세요. 이렇게 본업에 충실하며 성장하시면 남들이 불러줄 겁니다. 전문가라고!! 잘 해내셨고, 앞으로도 분명 잘 해나가실 거라 믿습니다. 응원드려요!! 😊
전문가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사전적으로 어떤 분야를 연구하거나 그 일에 종사하여 그 분야에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사람
사회복지사가 전문가인가 전문가가 아닌가에 대한 고민하기에 앞서 나는 전문가로서의 노력을 하고 있는가에 대한 생각이 드네요
전문가라고 한다면 응당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사람이기에 이에 맞는 자질을 갖추어져야 하는 것이지요 그럼에도 투잡이라..
과연 그렇다면 전문가로 말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내부규정이 없다하더라도… 사회복지사가 본업이라면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갖추고 난 뒤에 이에 대한 고민을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선무당이 사람을 잡을 수도 있기에…’
그리고 사회복지라는 영역이 사람을 다루는 것이기에.. 사람을 살리는 일이기에…
정말 섬세하게 살필 일이 많기에 이에 대한 자질을 갖추었으면 하는 바람이 드네요.
맞습니다. 사회복지사가 전문가이냐 아니냐보다, ‘나는 전문가로서 그에 걸맞게 부끄럽지 않게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이 훨씬 본질적인 관점인 것 같아요. 사람을 돕고 지역사회를 돕는 일인데, 자칫 섣부름은 안 하느니만 못할 수도 있으니 더더욱 그렇습니다. 얼마나 치열하게 공부하고 성찰하는가 하는 태도를 본업에서 갖춘다면, 행여 다른 일을 해도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깊은 성찰 나눠주셔서 고맙습니다. 😃
오늘의 아티클도 잘 읽었습니다
투잡에 대해선 개인적으로 결론은 못내리겠지만, 본업에 집중해야하는 이유에 저도 공감합니다. 이부분이 먼저여야 한다는 부분에 백번 동의하구요. 더불어 내부규정에 대한 고민도 같이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어쩌면 본업에 집중한다는 말은 내가 어떤 태도로 사회사업을 생각하고 실천하는지를 드러내는 증표일 수도 있겠다 싶습니다. 물론 여건이 안 좋아서 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요.
이번에 아트클 쓰면서 기관마다 내부규정을 정비해야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같은 생각이시네요. 고맙습니다. 😊
이런 저런 생각이 많아지는 글입니다.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그렇지요? 저도 이 아티클 작성하면서 이런저런 갈래로 생각이 많았답니다. 그중에 일부만 담아적었습니다.댓글 남기실 때 꼭 길게 남기실 필요는 없습니다. 짧아도 좋아요. 고맙습니다. 🙂
단순히 안 된다, 된다의 문제가 아니라 본업에 먼저 집중하는 게 장기적으로 더 유익하다는 말씀이 크게 와닿았습니다. 현실적인 안내와 진심 어린 조언까지 담겨 있어서 감사히 읽었습니다!
맞아요. 규정만 따지다 보면 자칫 내게 어떤 게 유익한지는 놓칠 수 있는데, 본업에서 일정 수준 이상에 도달하는 게 참 중요하다고 봅니다. 읽고 공감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
이런 부분에서 이야기 나눴던 부분이 생각나네요. 투잡을 하더라도 본업이 우선 시 되어야 하고 본업을 위한 자기 계발이 우선 시 되어야 할 것 같은데……..
맞습니다. 결국 본업이 중심이 되어야 하고, 그 중심을 단단히 하기 위한 자기 계발이 우선이겠지요. 그래야 이를 기반으로 확장도 가능할 테니까요. 혹 여건이 너무 안 좋으면 할 수도 있지만 기본이 뭔지는 놓치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