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는 모든 걸 알아야 한다는 고정관념 버리기

리더는 모든 걸 알아야 한다는 고정관념 버리기

현재 상태

미수강

가격

멤버십

시작하려면

🎯 리더는 의도적으로 모르기를 선택해요 🎯

코스 내용

리더는 모든 걸 알아야 한다는 고정관념 버리기
guest
2 댓글
최신
가장 오래된 최다 투표
인라인 피드백
모든 댓글 보기
전문사회복지사

“모든 ‘사안’을 다 파악해야 리더의 역할을 하는 것이라는 개념이 틀렸다”

50명이 넘어선 조직에서 삼성그룹 계열사까지… 
어느정도의 조직을 가진 리더를 위한 말씀이신지 파악하기 어렵네요.

다년간 기업생활을 한 직장인의 의견으로 봐주세요. 

‘사안’에 대한 사전적 정의를 생각해봅니다.
올려주신 글에는 일반적이고 일상적인 업무를 사안이라 말씀하신것 같네요.

말씀하신것처럼 개개인의 직원들의 세부 업무 또는 
일상적인 업무까지는 알기 어렵습니다만,

조직의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목적에 부합하고 목표 달성에 문제가 없는지의 
상시 모니터링 기능은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눈에 보이는 지표관리와 
심플하게 대화하는 방식과
소통에 자유로움도 열어놔야 합니다.

물론, 전문 기술이 필요한 부분까지 직접하거나
직접할 수 있는 능력까지는 필요하지 않습니다만,
운영되는 핵심은 파악하고 진척관리는 해야겠죠.

기존 사회복지계의 한계를 넘기위해서
기업경영 마인드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천명이 넘는 직원이 근무하는곳의 사장님이 매일아침 정문에 서서 
출근하는 직원들의 이름을 부르며 인사합니다. 

기업은 방침과 목표를 정해놓고, 
해외 생산라인의 가동률과 불량률, 고객 크레임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대응합니다.

말씀하신 대기업 사장님들도 시간을 내서라도 일선 현장을 직접 확인합니다.

기업과 사회복지계의 가장 큰 차이는
사활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냐 안하냐인것 같습니다.  

*공용PC라서 로그인 없이 댓글 남깁니다.
선생님같이 사회복지 전문가분과 이렇게나마 소통하는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위로 스크롤
2
0
당신의 생각도 궁금합니다. 댓글을 달아주세요.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