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청년 은둔 양상의 변화와 정책 과제를 이해하기 쉬운 자료

202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청년 은둔 양상의 변화와 정책 과제를 이해하기 쉬운 자료

에디터 의견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발간하는 보건복지포럼에 올라온 은둔 청년에 대한 자료입니다. 은둔 청년의 개념과 실태, 삶과 욕구 등이 본 자료에 잘 요약·정리되어 있어 공유합니다. 자료는 2022년과 2024년 청년 삶 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자료입니다. 따라서 구체적인 근거가 있고, 이를 분석하고 해석한 자료입니다.

2025년 올해 법률이 통과되어 2026년 청년미래센터가 전국 확대 및 본격 시행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는 자연스럽게 은둔 청년에 대한 지원 및 기관 간 협업 필요성 또한 높아질 겁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장에서 은둔 청년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활용하기 좋은 기초자료입니다.

에디터가 추린 주요 내용

2025년 2월 「가족돌봄 등 위기 아동·청년 지원에 관한 법률」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고 같은 해 3월 공포되면서 청년미래센터를 중심으로 한 지원 사업은 2026년 전국 확대 및 본격 시행을 앞두고 있다

1 들어가며

2 은둔 청년의 개념과 실태
[그림 1] 청년의 고립·은둔 구분 지표 및 개념도
[그림 2] 은둔 청년의 출현율과 외출 상태(2022, 2024년)
[그림 3] 은둔 청년의 외출 상태 이유(2022, 2024년)
[그림 4] 청년의 은둔 기간(2022, 2024년)

3 은둔 청년의 삶과 욕구
[표 1] 은둔 청년의 성별 구성
[그림 5] 은둔 청년의 연령대와 가구 규모(2022, 2024년)
[그림 6] 은둔 청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자살생각(2022, 2024년)
[그림 7] 은둔 청년의 경제활동 상태와 미취업자 구직 경험(2022, 2024년)
[그림 8] 은둔 청년의 연애와 결혼, 출산 계획(2022, 2024년)
[그림 9] 은둔 청년의 삶의 만족과 부정적 미래 전망(2022, 2024년)

4 고립·은둔 청년 지원 정책 경과
[그림 10] 청년미래센터 체계
[표 2] 청년미래센터 시범사업 운영 현황(2024년 기준)
[그림 11] 청년미래센터 시범사업 참여 고립·은둔 청년의 사회적 네트워크, 은둔, 삶의 만족 변화

5 나가며

guest
0 댓글
최신
가장 오래된 최다 투표
인라인 피드백
모든 댓글 보기
위로 스크롤
0
당신의 생각도 궁금합니다. 댓글을 달아주세요.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