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서울시: 행정 분야에 AI 챗봇 운영, 이제 핵심은 데이터 축적

2025 서울시: 행정 분야에 AI 챗봇 운영, 이제 핵심은 데이터 축적

에디터 의견

행정 분야에도 AI를 활용한 챗봇 2.0 사업을 도입합니다. 이전에는 정형화된 규칙에 따라 답변하는 챗봇이었는데, AI를 활용하면서 유연하게 답변이 가능한 챗봇입니다. 문서 초안 자동 작성, 문서 요약 및 정리, 내부 문서 기반 질의응답 등과 같은 반복·정형 업무를 돕겠다고 합니다. 서울시는 자체로 GPU 서버를 도입하고 구축합니다.

복지 현장 또한 이제는 반복·정형 업무는 AI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다만, GPU 서버를 따로 구축하는 게 아니라, 기존 AI 서비스를 활용해도 꽤 비슷한 효능을 얻을 수 있을 겁니다. 오히려 관리 투자가 필요 없어 더 효과적일 겁니다. 지금도 최소한 구글의 노트북LM 등을 활용하면 무료로 챗봇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도구가 보편화될수록 핵심은 얼마나 데이터를 축적했느냐가 될 겁니다. 축적된 데이터가 없으면 AI 도구가 쏟아져도 정작 활용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지금부터라도 현장은 AI 도구에 넣을 데이터를 꾸준히 축적해야 할 겁니다.

보도자료 자체는 보실 필요가 없습니다. 보도자료에서 나타난 흐름을 말씀드리려 합니다.

에디터가 추린 주요 내용

이번 ‘챗봇 2.0 사업’은 1세대 챗봇의 기술적 한계를 넘어 생성형AI 기반의 유연하고 정교한 ‘AI 행정 지원 체계’로 전환한다는 점이 핵심이다.

사용자가 보유한 계획서나 기획안을 업로드하고 보도자료를 작성해 달라고 요청하면 AI가 양식에 맞춰 초안을 자동 작성해 주고, 부서 단위로 ‘나만의 챗봇’을 만들어 반복되는 실무 대응이나 협업 기반 문서 공유에도 활용할 수 있다.

‘챗봇 2.0’ 시스템이 본격 가동되면 문서 작성, 규정 조회, 질의응답 등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를 AI가 대체하면서 행정 효율성과 속도가 획기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guest
0 댓글
최신
가장 오래된 최다 투표
인라인 피드백
모든 댓글 보기
위로 스크롤
0
당신의 생각도 궁금합니다. 댓글을 달아주세요.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