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터 의견
서울시가 ‘기후재난 약자’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여름철 종합대책을 가동합니다. 여기에서 확인한 것은 복지기관이 적극적으로 재난 자체에 대응하는 곳은 아니지만, 재난으로 인한 약자의 피해를 예방 또는 대응하는 체계로 앞으로 점점 더 기능하게 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전반적으로 복지기관의 주안점이 ‘더 나은 복지’를 제공하는 것에 무게중심을 두었는데, 앞으로는 오히려 위험사회에 대한 기본 또는 기초 수준을 보장하는 체계로 무게중심이 옮겨가고 있는 것을 확인합니다.
에디터가 추린 주요 내용
폭염특보가 발령되면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 어르신 4만여 명에게 사회복지사나 생활지원사가 1~2일 단위로 안부를 확인한다.
경로당, 노인종합복지관 등 어르신 시설 2,825개소에 무더위쉼터를 지원하고, 주거환경이 열악하거나 온열질환에 취약한 어르신대상으로 안전숙소 94개소를 운영한다.
취약계층 어르신 3만9,343명(’25년2월 기준)을 대상으로 폭염특보가 발령되면 사회복지사, 생활지원사가격일또는 매일 안부를 확인하며 안전을 살필 예정이다.
재난 사고에 취약한… 사회복지시설(7,483개소)에 대한 안전점검도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