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서울시의회: 서울에서는 장애인 그룹홈이 매년 감소하는 추세

2025 서울시의회: 서울에서는 장애인 그룹홈이 매년 감소하는 추세

에디터 의견

서울에 있는 장애인 공동생활가정(그룹홈)이 계속 폐소되는 상황입니다. 2022년 7개소, 2023년 5개가 폐소되었고, 회의 개최일인 2025년 6월 현재 157개소가 있다고 합니다.

1인실이라는 사회 흐름과 다르게 2~3명이 한 방을 사용하는 상황과 이에 따른 직원의 어려움 등이 원인으로 보입니다. 직원을 구하는 것도 쉽지 않고, 장애인 당사자의 만족도도 떨어진다고 합니다.

한편으로는 거주시설, 지원주택, 자립생활주택, 자가, 임대 등 다양한 주거 선택지가 생기고, 지자체의 관심이 이곳에 더 우선되면서 그룹홈은 후순위로 미뤄져 있다는 인상이 강합니다. 지금 상태로 특별한 지원이 없다면, 장애인 그룹홈은 앞으로 점차 위축되는 상황이 펼쳐질 것으로 보입니다.

에디터가 추린 주요 내용

*AI 요약입니다.

공동생활가정(그룹홈) 폐지 원인과 대안 필요성

질의자: 오금란 위원
답변: 장애인복지과장 홍우석

공동생활가정 감소 내용과 원인, 향후 방향 공동생활가정(그룹홈)은 최근 몇 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원인 분석과 향후 개선 방향이 논의되었습니다.

◦ 감소 현황: 2022년에 7개소, 2023년에 5개소의 공동생활가정이 폐지되었고, 2024년에도 폐지가 발생하여 불용액이 발생했습니다. 현재 157개소가 남아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감소 원인:
▪ 종사자 구인난: 그룹홈은 장애인 시설 중에서도 종사자를 구하기 가장 어려운 유형 중 하나입니다.
▪ 환경 문제 (공동 생활): 기존 그룹홈은 방 두세 개에 5명(장애인 4명, 교사 1명)이 생활하는 방식으로, 2~3명이 한 방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만족도가 떨어집니다. 이로 인해 종사자들의 이탈이 발생하고, 장애인들도 그룹홈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향후 방향 및 개선 방안:
▪ 환경 개선 및 1인 1실 도입: 장애인들이 1인 1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하고, 관련 지침을 변경하여 장애인들의 인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 사업 전환: 그룹홈 대신 ‘지원 주택’이나 ‘자립 주택’과 같이 장애인들에게 호응도가 높은 주거 형태를 확대하는 등 사업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이는 불용액 발생 및 지속적인 폐소 문제와도 연관됩니다.
▪ 다양한 주거 여건 제공: 장애인 개개인의 필요에 맞춰 거주 시설, 그룹홈, 지원 주택, 자립생활 주택, 자가(자가 거주), 전세 등 다양한 주거 형태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guest
0 댓글
최신
가장 오래된 최다 투표
인라인 피드백
모든 댓글 보기
위로 스크롤
0
당신의 생각도 궁금합니다. 댓글을 달아주세요.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