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서울시 : 고립위험 가구에 스마트돌봄서비스 제공 및 자료집 발간

2024 서울시 : 고립위험 가구에 스마트돌봄서비스 제공 및 자료집 발간

에디터 의견

AI 등이 고립위험 가구 등에 적극 활용되고 있습니다. 서울은 적극적으로 이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복지는 AI 등의 영향을 적게 받을 거라고 했으나, 실제로는 단순, 반복적인 일에 가까울수록 AI를 활용하는 경우가 대폭 늘어날 겁니다. 물론 인간은 이를 활용하여 더 복잡하고 불확실한 업무를 맡게 되겠지요. 어쨌든 AI가 접목되는 흐름은 앞으로는 당연하게 여겨질 겁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자료집을 보시면 도움이 될 겁니다. 대충 훑어봤는데 그래도 신경써서 만든 것이 느껴집니다.
자료집 주소는 https://sihsc.welfare.seoul.kr/community/mndt/view.do?seq=571 입니다.

에디터가 추린 주요 내용

‘스마트돌봄서비스’를 지난해(2만 4,932가구) 대비 약 80% 증가한 4만 4,923가구(’24년 9월 기준)가 이용했다.

스마트돌봄서비스 내용

스마트플러그 : 가정 내 주로 사용하는 가전에 설치해 일정 시간 전력 사용과 조도 변화가 없으면 알람 전달
AI안부확인 : AI가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안부(건강, 식사, 운동, 약 복용, 불편 사항 등)를 확인, 기록
AI안부든든·1인가구 안부살핌): 가정에 별도의 기기 설치 없이 통신, 전략, 모바일 앱을 인공지능으로 분석
똑똑안부확인 : 휴대전화 통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발신 이력, 모바일앱(걸음 수), 문 열림 센서, 스마트플러그로 종합, 안부를 확인
AI스피커: 가정에 AI스피커를 설치해 정서 안정 지원 및 건강 관리

사례집은 ‘고립예방플랫폼 똑똑(sihsc.welfare.seoul.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guest
0 댓글
최신
가장 오래된 최다 투표
인라인 피드백
모든 댓글 보기
위로 스크롤
0
당신의 생각도 궁금합니다. 댓글을 달아주세요.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