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디터 의견
디지털을 조직에 도입하는 건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고 합니다. 자동화와 증강. 자동화는 사람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이고, 증강은 사람의 역할을 도와 사람이 일을 더 잘하게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디지털을 도입할 때 자동화가 증강보다 더 크게 반발한다고 합니다. 내가 주체적, 주도적으로 일하고 있었는데 그 역할을 빼앗기는 것으로 느껴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반발은 직무만족도 저하뿐 아니라 심지어는 퇴사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 반발을 줄이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디지털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직원의 의사가 반영되는 방식으로 도입하면 반발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아마도 주체성, 주도성을 덜 침해하고 존중받는 느낌과 결과물이 그렇게 나오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AI 의견
디지털 전환을 경험하는 직원들: 자동화냐 증강이냐, 그 차이가 중요한 이유
현장에서 일하는 사회사업가들이 ‘디지털 전환’이라는 말을 들으면 보통 ‘기술이 도입된다’고 생각할 수 있어요. 그런데 이 논문은 중요한 차이를 짚고 있어요. 디지털 전환에는 **‘자동화’(automation)**와 **‘증강’(augmentation)**이라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는 겁니다.
자동화는 기존에 사람이 하던 일을 기술이 대신하게 되는 거고, 증강은 기술이 사람을 도와서 더 잘 일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걸 말해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기록을 자동으로 정리해주는 시스템이 도입되었을 때, 그게 사람을 없애고 기계가 대신하게 한다면 그건 자동화고, 사람이 일할 때 실수를 줄이고 더 빠르게 일하게 도와주는 거라면 그건 증강이에요.
직원들이 자동화에 더 반발하는 이유
이 논문은 ‘심리적 반발(reactance)’이라는 이론을 사용해요. 이건 쉽게 말해, 누가 내 자율성을 침해한다고 느껴질 때 생기는 반응이에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를 만날 때 어떤 방식으로 대화할지를 내가 정하던 상황에서, 갑자기 시스템이 모든 절차를 정해버리면 짜증나잖아요. 그게 바로 반발입니다. 논문에서는 자동화가 증강보다 훨씬 더 강한 심리적 반발을 유발한다고 봤어요.
왜냐하면 자동화는 내 일이 줄어들거나 내가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이 사라지는 느낌을 주기 때문이에요.
직원 참여가 중요한 이유: ‘목소리’가 반발을 줄여줘요
그렇다면 조직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여기서 중요한 개념이 **‘직원 목소리(employee voice)’**예요. 즉, 변화가 있을 때 직원이 의견을 낼 수 있는 구조가 있는지, 없는지가 엄청 중요하다는 거죠. 조직이 자동화를 추진하더라도, 직원이 의견을 내고 참여할 수 있다면 반발이 줄어든다는 게 이 논문의 핵심 결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