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 나아진다고 믿을수록 행동 동기가 높아진다

카드뉴스

에디터 의견

행동의지를 높이려면 삶이 나아진다고, 나아질 거라는 믿음이 중요합니다.

연구에서는 일부러 자신의 삶이 나아진다고 생각하도록 작업을 한 후에 행동 의지를 확인했더니 행동의지가 뚜렷하게 높아졌다고 합니다. 이에 비하여 사회에 대한 판단이 행동 의지에 일관된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리하면, 행동 의지를 높이는 요인은 자신의 삶이 나아진다는 믿음입니다. 반면, 자신의 삶이 나빠진다고 믿으면 행동 의지 또한 떨어집니다.

과거에는 강한 성장의 시기였습니다. 개인들도 내 삶도 나아진다는 믿었기에 행동 동기가 높았습니다. 최근에는 수축 사회라서 내 삶이 나아질 거라는 믿음이 약해지는 듯 보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일자리가 있다 하더라도 행동 동기가 떨어질 겁니다. 나아질 것 같지 않기 때문이지요.

이처럼 행동 동기가 떨어져 있는 사람을 도울 때는, 행동 동기를 높이라고 하는 것보다는 내 삶이 나아지고 있다는 가상 시나리오(상상)을 하도록 돕고, 그와 관련된 아주아주 작은 것이라도 성공 경험을 하도록 하여 내 삶이 조금이라도 나아지고 있다고 인식하게 하는 것이 필요할 겁니다.

AI 요약

이 연구는 개인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신과 공동체, 국가, 전 인류의 삶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조사하고, 이러한 믿음이 더 나은 미래를 위한 행동 의지인 ‘웰두잉(well-doing)’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본다.

1차 연구(참가자 963명, 평균 나이 40.83세, 여성 48.2%)에서는 참가자들이 자기 자신, 공동체, 국가, 전 인류 중 하나의 대상에 대해 삶이 어떻게 변해가고 있는지를 보고했다. 2차 연구(참가자 947명, 평균 나이 39.52세, 여성 51.4%)에서는 참가자들에게 네 대상 중 하나와 관련된 삶의 방향성에 대해 ‘더 나아짐’, ‘변함없음’, ‘더 나빠짐’ 중 하나를 제시하는 조건에 무작위 배정했다.

1차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평균적으로 자기 삶은 점점 나아지고 있다고 인식했으나, 다른 대상들에 대해서는 점점 나빠지고 있다고 인식했다. 두 연구 모두에서, 삶이 나아지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웰두잉 의도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1차 연구에서는 자기 자신에 대한 조건에서, 2차 연구에서는 대상에 관계없이 일반적인 동기 수준에서 이 경향이 나타났다.

이 결과는 삶이 점점 나아지고 있다고 믿는 것이 개인이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행동하려는 동기를 강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참고한 논문 : Is Life Getting Better and Better or Worse and Worse for Oneself and Others? Investigating the Link Between Beliefs About Life Unfolding Over Time and Motivation for a Positive Future, Melissa Beaucage, Michael A. Busseri
guest
0 댓글
최신
가장 오래된 최다 투표
인라인 피드백
모든 댓글 보기
위로 스크롤
0
당신의 생각도 궁금합니다. 댓글을 달아주세요.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