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결과에 따르면, 청년이 나이에 대해 긍정적인 관점을 가질수록 더 높은 수준의 회복탄력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나이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은 개인의 심리적 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삶에 대한 통제감을 강화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합니다.
이 연구는 청년 두 집단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첫 번째 연구는 노인에 대한 태도를 지표로 사용하여 긍정적인 태도가 높은 회복력과 관련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두 번째 연구는 다섯 가지 나이에 대한 지표(노인에 대한 태도, 노화에 대한 불안, 적대적 연령주의, 자비로운 연령주의)를 평가했으며, 긍정적인 태도가 회복탄력성과 관련이 있었고 삶에 대한 통제감과 상관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 연구에서는 청년이 일상적으로 갖는 나이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이 개인 본인의 자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에디터 의견: 노인과 노화에 대한 긍정적 관점을 가질수록 자기 삶에 대한 통제감이 늘어난다고 합니다. 통제감이 높은 사람은 삶에서 발생하는 일들에 더 잘 대처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며, 이는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긍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결과적으로 개인의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참고한 논문 : When a Bright Future is in Mind: Young Adults’ Positive Views on Aging Contribute to Resilience Through Enhanced Sense of Control, Yue Yang Sun, Tianyuan 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