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변기는 혼란인 동시에 변화의 타이밍

아무리 좋은 변화를 추구하더라도 그 시기가 맞지 않으면 좌초된다.
다수가 수긍하기 어려워하여 저항이 커지기 때문이다.

반면, 그 시기가 맞으면 좀 수월하게 바뀔 수 있다.
(물론 안 힘들다는 것은 아니다. 변화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
다수가 ‘그럴 수밖에 없겠네’,
‘아쉽지만 지금은 받아들여야지’ 하며
수긍하고 그럴수록 저항은 적어지기 때문이다.

안정기일 때는 아무리 애를 써도 변화가 쉽지 않다.
안정기란 마찰도 커서 더 큰 에너지를 들여야 움직인다.

반면, 격변기일 때는 기본적으로 흔들림이 커진 상황이다.
이때는 패러다임에 따른 요동이 큰 상황이므로
안정기일 때보다 더 적은 에너지로도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지금은 세계로는 다극화로 달라지고,
국가로도 수축사회로,
복지 방향도 구조조정과 통합·융합 등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
뉴스와 보도자료만 보아도 파악할 수 있다.

복지기관 리더는 이를 어떻게 인식해야 할 것인가?
혼란스러움에 위기로 인식될 수도 있으나,
오히려 그간 변화를 바라며 준비했던 리더 입장에서는
분명한 기회이다.

특히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지자체의 우선순위가 변한다.
이를 잘 포착하여 리더로서 복지기관의 변화 방향을 잘 조합하고
이로써 보다 많은 수긍을 얻어
변화 자체의 저항을 줄이는 전략을 세울 절호의 기회다.

내가 보기에는 복지기관의 변화를 추동하기에는
오히려 이런 흔들림이 좋은 기회임에 틀림없어 보인다.

변화는 타이밍이라는 요소가 중요하다.

guest
0 댓글
최신
가장 오래된 최다 투표
인라인 피드백
모든 댓글 보기
위로 스크롤
0
당신의 생각도 궁금합니다. 댓글을 달아주세요.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