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주차 학술 논문 리뷰

부모의 인터넷 사용 중독 수준과 아동 학대 가능성 간의 관계

부모의 인터넷 사용 수준이 중독적일수록 아동 학대의 위험성에 연관성이 있다고 합니다. 분석 결과, 부모의 음주 및 흡연, 교육 수준, 인터넷 사용 시간, 사회적 지원 수준이 부모의 인터넷 중독적 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확인되었습니다. 아동 학대를 감소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중독적 인터넷 사용 수준을 낮추는 개입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참고한 논문 :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roblematic internet use levels and child abuse potential, Seher Ünverdi, Seher Sarıkaya Karabudak

오렌지 리본과 불쌍한 아이: 일본의 아동 학대, 가족 규범성 및 복지 국가 조사

일본 정부는 15년 넘게 아동학대 인식 제고를 위한 국가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으며, 오렌지 리본이 이 캠페인의 상징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합니다. .본 연구는 18개월 간 아동 보호 실태에 대한 민족지적(fieldwork) 연구를 바탕으로 아동학대의 사회적 구성 맥락을 밝힙니다.
연구에서는 학대 아동을 ‘불쌍한 아이’ 이미지로 만드는 것은
첫째, 가족 개인의 문제 측면만 강화하여 그 뒤에 빈곤, 고용 불안, 사회적 고립 같은 사회적 문제를 보지 못하게 하며,
둘째, 불쌍한 아이는 학대 아동이라는 모호한 기준이 확산되면서 과잉 신고가 늘어나며,
셋째, 학대 예방 보다 학대 신고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지역사회 협력 및 연대가 약화되고,
넷째, 불쌍한 아이를 보면서 무의식적으로 아동의 주체성이 무시된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아동 학대 캠페인을 할 때는 사회구조적 접근과 아동을 주체로 존중하여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존재로 바라보는 관점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참고한 논문 : The Orange Ribbon and the Pitiful Child: Investigating Child Abuse, Family Normativity and the Welfare State in Japan, Christopher Chapman

청취와 읽기가 뉴스에 대한 소비자의 해석을 어떻게 바꾸는가

이 연구는 뉴스 청취와 독서가 해석에 미치는 차이를 조사합니다. 제안된 이론에 따르면, 청취자는 정보의 전달 속도를 조절하기 어려워 감정적으로 자극적인 요소, 특히 부정적인 정보를 선택적으로 주목하게 됩니다. 이 선택적 주의는 청취자와 독자가 뉴스를 해석하는 방식에 차이를 초래하며, 이는 뉴스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성격에 따라 달라집니다. 연구는 14,744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여섯 가지 주요 실험과 세 가지 보조 실험을 통해 예측된 영향을 확인했습니다.

예를 들어, 위험과 이점이 혼합된 제품 뉴스 이야기를 청취한 참여자들은 부정적인 세부사항을 더 선택적으로 처리하고 결과적으로 제품의 안전성에 대해 더 비관적인 인상을 갖게 되었습니다.

에디터 의견 : 청취자는 인지적으로 더 많은 처리를 해야 하므로 좀더 감정적으로 인식한다고 합니다. 특히 부정적인 정보를 더 강하게 받아들입니다. 반면, 독자는 본인이 읽으면서 정보 처리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긍정, 부정을 좀더 균형있게 받아들인다고 합니다. 이런 점에서 보면, 감정을 자극하여 특정성을 강조하려면 말로 전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고, 균형있게 전달하려면 글로 전달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한 논문 : How Listening Versus Reading Alters Consumers’ Interpretations of News, Shiri Melumad
guest
0 댓글
최신
가장 오래된 최다 투표
인라인 피드백
모든 댓글 보기
위로 스크롤
0
당신의 생각도 궁금합니다. 댓글을 달아주세요.x